파킨슨병에 가장 좋은 운동 60

파킨슨병에서 하지 근육/관절 강직을 해소하기 위한 운동_스트레칭

파킨슨병의 전형적인 증상은 진전(안정시 떨림), 강직(근육이 굳어짐, 관절 가동성 및 유연성 감소), 서동(움직임이 느려짐)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그 밖에 다른 비전형 정상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이 세가지 증상이 대표적이며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이다. 위 세가지 증상 중에서 하지 강직의 경우 하지(고관절 이하 다리) 및 발목에 나타나는 강직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을 아래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이 방법이 최선은 아니지만 최근 같이 운동으로 재활을 하고 계신 분에게 적용하고 있는 훈련방법을 소개한다. 이 방법은 파킨슨병과 싸우는 사람들에게 특화된 방법이 아닌 일반적인 발목 모빌리티(가동성) 훈련 중의 일부분에 해당한다. 발목가동성은 발목 관절과 발목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근육 및 인대의 유연성을 말한..

파킨슨병의 전형적인 특성인 강직을 완화하기 위한 운동

파킨슨병의 전형적인 증상은 안정시 떨림(진전), 느린 움직임 (서동) 근육 경직(강직), 자세 이상증 등 4가지로 꼽는다. 이 중에서 강직(Rigidity)은 근육이 지속적적인 긴장 상태에서 느끼는 근육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으로, 뻣뻣함(stiffness)과 근력의 약화 (weakness)와 같은 느낌을 주게 된다. 이러한 강직된 상태에서의 움직임은 부자연스럽게 보이며, 이는 마치 톱니바퀴(cogwheel)가 삐걱되며 돌아가는 것 처럼 보일 수 있다. 강직이 나타나는 근육부위는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데 그 원인은 아직 알수 없다. 파킨슨병에서 나타나는 강직은 정상적인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운동으로 인한 근육의 경직이나 근육의 뭉침과는 다르며 주로 운동신경의 문제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

파킨슨 환자에게 있어 걷기 재교육 훈련의 효과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걷기 훈련 효과 소개 파킨슨병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뇌의 흑질에서 도파민 생산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진행성 신경 퇴행성 운동 장애로 정의된다. 이 장애의 주요 특징으로는 움직임이 느려지고(서동), 걸음걸이가 부자연스러워지고(보행 장애), 근육의 경직 및 떨림이 발생한다(떨림의 경우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신체의 균형 및 자세의 불안정성은 파킨슨 환자에게 자주 발견되는 낙상 및 골절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파킨슨병 환자의 경우 걸음을 걸을 때 허리에 가해지는 뒤로 당기는 힘에 의한 반응으로 정상인과 비교할 때 앞으로 걷는 순간 체중 이동에 차이가 있으며(파킨슨 환자의 경우 몸의 무게 중심점이 뒤에 위치함), 발을 앞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에서 정상적인 상태와 다른 형태로..

파킨슨병과 싸우는 사람을 위한 균형(밸런스) 운동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균형을 찾는 것이 앞으로 나아가는 길입니다. 여기에는 신체의 균형 개발이 포함된다. (신체적) 균형을 개선하면 움직임을 컨트롤 하는 능력과 힘이 증가하여 자유롭고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안정성, 이동성 및 유연성이 향상되어 일상적인 동작을 더 쉽게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운동 능력을 향상시킨다. 균형에 집중하는 것은 정신을 집중하고 맑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균형 운동 연습 방법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운동은 코어 근육, 허리 및 다리 훈련을 포함한다. 하체 근력 운동도 균형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균형 유지 운동은 처음 시작할 때는 매우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일관된 반복 훈련은 밸런스(균형 유지) 운동을 더 쉽게 만든다. 운동을 반복함에 따라 동작이 더..

파킨슨병과 싸우는 사람을 위한 밸런스(균형운동)

파킨슨병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주로 일상적인 움직임을 어렵게 만드는 운동성에 문제를 일으킨다. 운동성이라고 함은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는 것 부터 걷기나 뛰기 그리고 식사를 하는 움직임까지 일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움직임 동작을 말한다. 이러한 움직임 중에서 가장 먼저 그리고 눈에 띄게 나타나는 동작이 걷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파킨슨병 진단을 받은 사람의 걸음걸이를 옆에서 관찰해보면, 매우 좁은 보폭, 빠른 걸음걸이, 발을 끄는 걸음 등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더보기 몸의 움직임의 폭이 작아지고 느려지는 운동완서는 파킨슨병에서 가장 특징적인 증상이다. 몸의 움직임이 전반적으로 느려지는데, 걸을 때 한쪽 팔을 덜 흔들고, 보폭이 작아져서 종종걸음을 걸으며, 다리가 끌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

파킨슨 환자에게 나타나는 몸통 굽힘증 교정을 위한 운동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PD)의 대표적인 임상증상은 경직(rigidity), 안정시 진전(tremor of rest), 운동느림(brady-kinesia) 그리고자세불안정(postural instability)과 같은 운동장애로 소개되고 있지만 다양한 비운동장애뿐만 아니라 병의 진행과 함께 환자의 약 1/3 이상에서는 머리, 목, 몸통 그리고 다리 관절이 앞으로 굽은 자세변형(stooped or bent posture)이 나타난다. 그뿐만 아니라 약 2-12% 정도에서는 피사증후군(pisasyndrome), 몸통굽힘증(camptocormia, bent syndrome)및 머리가 앞으로 숙여지는(antecollis) 등의 심한 변형까지도 나타난다. 이러한 자세 변형은 대부분 기립 자..

파킨슨병의 피사 증후군 교정을 위한 스트레칭

피사 증후군 (PISA SYDROME)이란 ? 더보기 파킨슨병의 특징 중 하는 자세의 변화이다. 대부분의 경우 앞으로 몸이 굽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일부에 있어서는 척추측만증과 동일한 증상인 측면 굴곡이 나타나게 된다. 이때 나타나게 되는 증상을 피사 증후군이라고 부른다. 피사 증후군은 서 있는 자세에서 10° 이상 측면 굴곡으로 정의되며, 파킨슨병(PD)의 맥락에서 신경완화 요법의 드문 결과로 보이는 것과 유사한 축성 긴장 이상증이라고 제안되었다. 척추측만증은 척추의 회전과 결합된 관상면에서 Cobb 각도가 10° 이상인 척추의 곡률(일반적으로 방사선 촬영으로 확인)로 정의된다. 척추 측만증은 서 있는 자세의 척추측만증은 뼈, 근육 및 연조직의 변화(고정되고 환원 가능한 변화)를 반영하여 척추..

파킨슨병과 싸우는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피사 증후군 교정 운동

피사 증후군 환자는 서 있거나 걸을 때는 몸통이 옆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두드러지지만, 외부에서 힘을 가해 허리를 펴주거나 누운 자세를 취하면 호전되는 게 질환의 특징입니다. 이런 점에서 누워 있는 상태에서도 척츠 측만이 남아있는 척추 골절을 포함한 척추의 퇴행성 질환으로 허리가 굽는 현상과는 완전히 다른 증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피사 증후군을 가진 파킨슨병 환자는 병이 진행함에 따라 몸통이 옆으로 기울어지는 정도가 점점 심해지며, 더욱이 이 질환은 파킨슨병 환자에게 심각한 요통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수많은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피사 증후군이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한 요인이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발병원인은 규명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으며 치료 방법은 운동이 가장 효과..

파킨슨병에 있어 피사 증후군 (PISA Syndrome)

Pisa 증후군은 비전형적인 급성 또는 지연성 운동장애로 다른 부위의 이상 소견없이 몸통만 약간 뒤쪽으로 회전하면서 옆으로 기우는 자세이상을 말한다. 더보기 이 질환은 일반적으로 향정신병 약물을 오랜기간 지속적으로 복용한 환자,기존의 뇌병변을 가진 환자, 그리고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는 노인 환자에서 발생률이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전 연구에 의하며 항정신병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8.3%에서 피사증후군이 나타나며, 이중 남자의 6.4%, 여자의 9.3%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피사 증후군의 병리적 기전은 비대칭적인 도파민-콜린의 불균형 즉 과도파민 상태로 설명한다. 이전 문헌들에 의하면 도파민 작용제 사용에 의해 파킨슨병 환자에서 피사 증후군이 발생하였고, 이들 약제를 끊은 후 호전..

파킨슨 병과 싸우는 사람을 위한 운동

이 글은 존스홉킨스 병원 홈페이지의 "Physical Therapy for Parkinson’s Disease"를 번역한 내용입니다. 모든 종류의 운동이 파킨슨 병에 걸린 환자들에게 이롭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특히 운동 치료가 중요하다. 파킨슨 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과 함께 일하는 Johns Hopkins physical therapist(물리치료사 또는 재활치료사로 번역될 수 있음) 데니스 패딜라-데이비슨은 파킨슨병 환자들에게 필요한 이동성, 힘, 균형을 높이기 위한 올바른 운동들을 안내해 줄 수 있고 독자적인 독립성을 유지하도록 도와 준다고 말한다. 물리치료사(운동사)가 수행할 수 있는 일은 다음과 같다. LSVT 트레이닝 파킨슨 병의 특정한 형태의 운동법은 LSVT BIG 트레이닝 이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