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에 가장 좋은 운동/빠른 움직임 만들기

파킨슨 병의 임상증상 _ 강직 및 운동완서

Good movement 2021. 9. 7. 15:54
반응형

이 글은 "김진웅/강군용 : 대뇌 기저핵의 기능과 파킨슨 질환에서 필요한 부분만 발췌한 글입니다.

 

흑질의 신경세포가 80% 이상 감소한 후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이 질환과 관련하여

Primary Symptoms(우선적 증상)이란 흑질의 도파민 결핍으로 인해 진전, 근육 경직(강직), 움직임이 느려지고 작아지는, 그리고 균형유지와 보행의 어려움 등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Secondary Symtoms (부수적 증상)은 신피질, 해마내의 도파민 결핍으로 인해 우울증, 노쇠함, 체위이상 그리고 말하는데 어려움 등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파킨슨병의 고전적인 주요 3대 운동장애로 운동 완서, 강직 그리고 진전을 들 수 있으며, 4번째 주요 증상으로 질병의 경과 중에 나타나는 자세의 불안정을 들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운동기능장애는 진전, 근의 강직(경직), 운동의 지연성 촉발(paucity of delayed initiation of movement) 그리고 자리잡기 반사 장애 (defective righting reflex) 등의 장애로 발생하게 된다. 

그중에서 근육의 강직(경직)은 

관절을 수동적으로 운동시킬 때 한쪽 방향으로만 처음 부분에서 걸리는 듯한 느낌이 들다가 갑자기 풀려버리는 접칼(clasp-knife)현상과 느린 신장에서는 정상적인 근 긴장 반응을 보이며, 빠른 신장에서는 비정상적인 근 긴장 증가현상을 보이는 과다긴장 (hypertonicity) 상태를 근 경직이라고 한다. 과다긴장 즉 hypertonicity는 AHC 보다 근위에 있는 병소 특히 추체로계 혹은 추체외로계의 이상으로 인해 정상적인 상태에서 근육의 긴장(tone)을 억제하는 기능이 소실되어 발생하게 된다.

 

파킨슨 환자에게 보이는 과다 긴장인 근 강직은 기저핵이나 추체외로계 혹은 뇌간의 망상체 형성(reticular formation) 사이의 연결부위에 이상이 있을 때 나타나며, 굴곡근과 신전근이 함께 영향을 받아 수동적 운동에 대해 저항력이 증가된다. 그렇지만 근 강직 역시 근 경직과 같은 과다 긴장 상태이지만 관절운동 전반에 결쳐 동일한 저항 그리고 움직임의 속도와는 무관하게 여러 관절에서 수동적인 움직임을 실시하면 일정한 저항이 나타나는 것이 근 경직과 구별되는 특징 들이다.

 

그리고 운동완서(bradykinesia)란 근육의 강직으로 인해 수의운동이 느려지는 것으로 손/발을 포함한 몸의 움직임이 전반적으로 천천히 일어나는 과소운동증(hypokinesia) 즉 움직임의 결핍(poverty of movement)을 의미한다. 신선조체의 병변시 과소운동 장애 즉 무동증과 운동완서라는 두가지의 중요한 과소운동 방해(hypokinetics disoder) 의 형태를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병변들은 신선조체와 담창구의 내측 분절사이의 억제 기능의 상실로 초래하게 된다. 

 

파킨슨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 무동증(akinesia) 이란 초기 수의 운동의 능력이 손상을 받는 것이며, 운동을 위한 계획 또는 다소간의 요구되어진 자세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능력의 붕괴로 발생하게 된다. 운동완서란 운동의 속도와 진폭이 감소된 것을 말하며, 시상으로 부터 직접회로의 유출(outflow)과 간접회로의 유출 사이의 균형의 방해로 인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가은 결과는 길항 근육들의 활성화를 증가시킨다. 결국 무동증의 증세가 심해지면 수초 정도의 짧은 시간 동안 마치 얼어붙은 것처럼 몸이 굳어지는 동결현상(freezing)으로 진행하게 된다. 

파킨슨 환자에게 운동완서는 대략 80% 정도에서 나타나며 율동적/동시적 그리고 반복적인 운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발생키킨다.  파킨슨 환자는 마치 심사숙고 하듯이 느리게 움직이며, 기민성이 상실된 상태로서 흔히 팔 흔들기와 같은 연합운동의 장애도 함께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운동완서 및 강직은 운동으로 일정한 부분 완화시킬 수 있다.

강직의 경우 스트레칭과 유연성 운동 그리고 빠른 동작을 수반하는 운동이 필수적이며,

운동완서의 경우 움직임을 재프로그래밍하여 뇌에 다시 기억을 시킴으로써 예전의 운동으로 돌아갈 수 있다.

 

반응형